'Same-Origin Policy' (동일 출처 정책)

Same-Origin Policy

Same-Origin Policy는 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가 다른 출처(웹사이트/도메인)의 데이터 접근이나 스크립트 실행을 방지하여 웹 기반 공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안 기능입니다. 이 정책은 다른 출처 간에 엄격한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Same-Origin Policy 이해하기

Same-Origin Policy는 웹 브라우저가 JavaScript와 같은 웹 콘텐츠가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 웹사이트와 동일한 출처의 리소스와 상호작용하도록 제한한다고 규정합니다. 출처는 스킴(예: http, https), 도메인(예: example.com) 및 포트(명시된 경우)의 조합으로 정의됩니다.

웹 페이지가 로드되면 브라우저는 해당 웹 페이지의 출처를 검사하고 보안 컨텍스트를 할당합니다. 이 보안 컨텍스트는 페이지 내의 스크립트가 브라우저 내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
이해해야 할 핵심 포인트:

  • 출처: 출처는 웹 페이지의 스킴, 도메인, 포트의 조합을 말합니다. 예를 들어, https://example.com:443은 별개의 출처를 구성합니다.
  • 보안 컨텍스트: 웹 페이지의 보안 컨텍스트는 해당 페이지의 출처에 의해 결정되며, 접근 제한을 시행하는 데 사용됩니다.

Same-Origin Policy 작동 방식

Same-Origin Policy는 서로 다른 출처의 스크립트 간 상호작용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작동합니다. 다음은 그 운영 방법입니다:

  1. DOM 접근: Same-Origin Policy는 한 출처의 JavaScript 코드가 다른 출처의 웹 페이지의 Document Object Model (DOM)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합니다. 이는 DOM에 존재하는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무단 접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정보 기밀성을 유지합니다.

  2. 쿠키 및 저장소 접근: 쿠키와 로컬 저장소, 세션 저장소 같은 저장 메커니즘은 이를 설정한 출처에 묶입니다. Same-Origin Policy는 한 출처에서 설정한 쿠키나 저장소에 다른 출처의 스크립트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 개인정보를 보호합니다.

  3. 교차 출처 요청: JavaScript로 이루어진 API 요청의 경우,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Same-Origin Policy를 적용하여 다른 출처로의 요청을 방지합니다. 그러나, Cross-Origin Resource Sharing (CORS)와 같은 특정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다른 출처의 리소스에 대한 통제된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.

예방 팁

Same-Origin Policy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의 모범 사례를 고려하십시오:

  1. 적절한 Cross-Origin Resource Sharing (CORS) 구현: 여러 웹 자산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해야 하는 경우, CORS를 활용하여 다른 출처의 리소스에 대한 통제된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. CORS는 서버 응답에 포함될 수 있는 헤더 집합을 정의하여 교차 출처 요청에 대한 승인된 출처를 지정합니다.

  2. 다양한 출처의 콘텐츠 혼합 방지: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, 동일한 웹 페이지 내에서 다양한 출처의 스크립트, 이미지 또는 iframe 등의 리소스를 혼합하지 않도록 하십시오. 서로 다른 출처의 콘텐츠 혼합은 Same-Origin Policy를 우회하고 보안을 손상될 수 있습니다. 서로 다른 출처의 리소스를 별도의 iframe 요소 내에 분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

  3. Content Security Policy (CSP) 사용: Content Security Policy (CSP) 헤더를 구현하면 개발자가 브라우저가 로드할 수 있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. 콘텐츠에 대한 승인된 출처를 지정함으로써 CSP는 신뢰할 수 있는 소스의 스크립트 실행만 허용하여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(XSS) 공격의 위험을 완화하는 데 기여합니다.

Same-Origin Policy 실전 예시

Same-Origin Policy의 영향과 장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다음 예시를 고려해보세요:

  1. AJAX 요청: Same-Origin Policy는 웹 페이지에서 실행되는 JavaScript 코드가 동일한 출처의 리소스에만 AJAX 요청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. 이는 공격자가 취약한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다른 출처로 악의적인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막습니다.

  2. 안전한 인증: Same-Origin Policy 덕분에 웹사이트는 다른 출처에서 콘텐츠를 로드하는 iframe의 내용을 읽거나 조작할 수 없습니다. 이 기능은 로그인 양식이 크로스 출처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출처에서 호스팅되는 안전한 인증 메커니즘에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.

  3. Clickjacking 방어: Clickjacking은 공격자가 사용자를 속여 사용자가 인식한 것과 다른 요소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기법입니다. Same-Origin Policy는 다른 출처의 iframe 내에서 웹 페이지가 로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런 공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추가 자료

웹 보안에 대한 이해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관련 용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:

  • Cross-Site Scripting (XSS): 공격자가 다른 사용자가 방문하는 웹사이트에 악성 스크립트를 주입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성입니다.
  • Clickjacking: 사용자를 속여 사용자가 인식한 것과 다른 요소를 클릭하게 만드는 속임수 기법입니다.

Same-Origin Policy를 구현하고 준수하면 웹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상태를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자를 다양한 웹 기반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. 이 정책과 관련된 세부사항 및 모범 사례를 이해하는 것은 안전하고 보안된 웹 브라우징 경험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

Get VPN Unlimited now!